1. 정의
일자리만족도는 취업인구 중 자신의 일자리에 만족하는 인구의 비율임.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현재의 일자리에 대해 '매우 만족'
또는 '약간 만족'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일자리만족도는 근로조건에 대한 주관적 지표이다. 이 지표는 임금수준, 고용의 안정성, 일의 내용 등 근로조건의 모든 측면을 고려한 일자리 전반에 대한 만족 정도를 나타낸다. 통계청 「사회조사」로 파악한 일자리만족도는 지난 일곱차례의 조사에서 30% 안팎에 그치고 있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는 큰 변화 없이 24~27% 내외였으나, 2021년 35.0%로 2019년에 비해 2.7%p 증가하였다. 성별로는 남성 취업자와 여성 취업자의 만족도는 큰 차이가 없고, 연령별로는 50세 이상 중고령 취업자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4. 임금만족도 / 근로시간만족도ㅇ / 일생활균형만족도

임금만족도는 2006년을 기점으로 20% 수준을 달성한 후 2011년 15% 수준 아래로 하락하였다. 이후 횡보하는 듯 하다가 2015년을 기점으로 상승하여 2021년에는 임금만족도가 27% 이상을 달성하였다. 이는 최저임금의 지속적인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근로시간만족도 또한 임금만족도와 마찬가지로 2006년을 기점으로 하락 및 횡보하다가 2015년을 기점으로 상승 전환 후 2021년에는 38% 수준의 근로시간만족도를 나타내었다. MZ 세대의 취업 등으로 직장내 조직문화가 변하고 야근이 당연시 되던 시대가 저무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주 52시간 이상 근무하지 못하게 하는 법시행 등의 영향으로 풀이 된다.

일생활균형만족도 즉 워라벨은 전문관리직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사무직 순으로 일생활균형만족도를 보였으며 종사상 지위 측면에서는 상용근로자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본 포스팅은 2021 국가발전지표를 바탕으로 작성된 내용임.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with 1인당 실질 개인처분가능소득 / 주요국의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 / OECD 주요국의 1인당 개인처분가능소득 (0) | 2022.02.25 |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노동조합조직률(with 근로손실일수) (0) | 2022.02.25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산재사망률 및 산업재해율 (0) | 2022.02.24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근로시간 및 취업자근로시간 (2) | 2022.02.24 |
[유용한 정보] 임금5분위배율, 기업규모별 임금격차, 최저임금비율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