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의
사회적 고립도는 조사대상인구 중 위기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곳이 없는 사람의 비율임.
2. 추이

3. 해설
사회적 고립도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망이 얼마나 촘촘하며 효율적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회적 고립도는 사회적 유대가 얼마나 넓게 퍼져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위기상황에서 인적, 경제적, 정신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 받을 수 있는 곳이 없는 사람의 비율을 보여주는 사회적 고립도는 2021년 32.5%로 2019년 28.6%보다 3.9%p 증가하였다. ‘아플 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는 27.2%, ‘급히 돈을 빌릴 곳’은 49.9%, ‘힘들 때 이야기할 상대’는 20.4%가 없다고 응답하여, 경제적인 도움을 받기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 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고립도는 증가하여 60세 이상은 41.4%로 20대(25.7%)에 비해 15.7%p 높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만족도 / 행복도 / 자살률 (0) | 2022.04.10 |
---|---|
사회이동가능성인식 / 여성관리자공무원비율 / 소수자포용성 (0) | 2022.04.10 |
우리나라 대인신뢰도 (0) | 2022.04.10 |
우리나라 부패인식지수 / 공정성인식 / 준법의식 / 기관신뢰도 (0) | 2022.04.08 |
우리나라 역대 선거투표율은?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