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의
살고있는지역에소속감을가지고있는인구의비율
2. 측정방법
현재살고있는지역(시도)에소속감을가지고있는지에대해'매우그렇다'또는'약간그렇다'라고응답한비율을합산
3. 주요내용
2020년 70.5%, 전년대비 6.1%p 증가
가족규모가 축소되고,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가족의 역할들 중 일부는 공동체나 지역사회로 대체되고 있다. 현재 거주지역에 대한 사람들의 소속감은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통합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측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회적 연대의 표현이기도 하다. 사회적으로 결속과 연대가 유지되면 지역사회 소속감이 높을 것이고, 반대로 결속과 유대가 약하면 소속감도 낮아질 것이다. 이러한 공동체 내에서의 결속과 유대는 개 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특히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최근에는 더 중요할 수 있다.

현재 거주하는 지역사회에 대해 소속감을 가지고 있다는 사람의 비율은 2020년 70.5%로 2019년 64.4%보다 6.1%p 증가하였다. 지역사회 소속감은 2013년 64.0%에서 2014년 62.5%, 2016년 56.9%로 감소추세였으나, 2017년 이후 증가 추세이다.
지역별로는 도시지역(71.1%)보다 농촌지역(75.3%)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이 약간 더 높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이하의 경우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이 66.2%로 낮게 나타난 반면 30대 70.1%, 50대 72.6%, 60대 이상에서는 76.6%로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
* 본 저작물은 ‘통계개발원’에서 ‘2021년’작성한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우리나라 사회적 고립도 (0) | 2022.06.20 |
---|---|
우리나라 사회단체 참여율 (0) | 2022.06.15 |
MZ세대의 생활환경: 생활비 원천, 주거실태 (0) | 2022.06.14 |
우리나라 독거노인 비율 (0) | 2022.05.12 |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발전비율 (1) | 202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