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청소년의 고민 상담유형은 정신건강, 정보제공, 대인관계, 가족 순이며, ’20년 중·고등학교 재학생 중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75.8%, 자신에게 만족하는 비율은 66.5%로 나타났습니다. ‘20년 청소년 고민 상담유형은 정신건강(20.3%), 정보제공(18.3%), 대인관계(13.7%), 가족(10.5%)입니다.
안녕하세요. '나도부자다'입니다. 오늘은 청소년이 생각하는 관계에 관한 통계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가족관계 만족도
2020년 청소년 4명 중 약 3명(73.5%)은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해 만족하고 있습니다. ’20년 청소년(13~24세)의 73.5%가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가족 관계 만족도는 2년 전보다 3.1%p 증가했습니다.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가 76.6%로 형제자매와의 관계(71.0%)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2. 자아 존중감
2020년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하여 자아 존중감이 높았습니다. ‘20년 중․고등학생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2년 전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감소했으며, 스스로를 가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하는 비중은 75.8%, 성품이 좋은 사람
71.7%, 나에게 긍정적 69.0%로 2년 전보다 각각 0.9%p, 0.8%p, 3.0%p 감소한 반면, 나에게 만족하는 비중은 66.5%로 2.3%p 증가했습니다.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중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3. 고민상담
2020년 청소년 고민 상담유형은 정신건강(20.3%), 정보제공(18.3%), 대인관계(13.7%), 가족(10.5%) 순이며, ’20년 청소년 상담(1388)* 건수는 93만 6천 건으로 ’11년(68만 5천 건)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 청소년 고민에 대해 전화, 문자, 카카오톡, 인터넷 채팅으로 상담을 제공하는 서비스
’20년 청소년의 고민 상담유형은 정신건강(20.3%), 정보제공(18.3%), 대인관계(13.7%), 가족(10.5%) 순이었으며, 정보제공, 정신건강, 가족, 성과 관련된 상담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대인관계, 학업진로, 일탈비행, 성격, 근로, 활동과 관련된 상담은 감소했습니다.
★ 의견: 청소년 고민상담 유형을 보고 생각이 많아집니다. 정신건강이 1위 20.3% 로 나타난 부분에 대해 최근 정신건강 부분이 어린아이들(즉 청소년)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또한 성과 관련한 상담이 전년 대비 증가 하였다는 내용에 우려가 되는 부분입니다. 알맞은 성교육을 통해 이런 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되지 않을까요? 이렇게 생각해보면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말 기준 등록 반려동물은 209만2천 마리이며, 대부분의 가구에서 동물등록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10) | 2021.06.24 |
---|---|
[한국 반려가구/반려동물 현황] 2020년 말 기준 한국 반려가구는 604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9.7%, 반려인은 1,448만 명이다. (3) | 2021.06.23 |
[청소년 통계] 우리나라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도, 청소년 흡연 및 음주, 청소년 가출 및 청소년 범죄 현황 (14) | 2021.06.10 |
[청소년 사회참여 의식] 우리나라 청소년이 생각하는 사회참여의식, 양성평등의식, 인권의식을 알아본다. (9) | 2021.06.09 |
[청소년 여가시간] 우리나라 청소년 청년 여가시간 활용 통계 및 인터넷 이용률 (4)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