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시간당 임금 및 월평균 임금 수준

나도부자다 2022. 2. 24. 12:03
728x90
반응형

1. 정의

시간당 임금은 임금근로자의 단위 시간당 임금액임. 월임금총액을 월간총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함.

2. 추이

3. 해설

근로자의 임금수준은 일자리의 질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이다. 그러나 근로자가 받는 임금총액만으로는 임금수준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임금총액에는 근로시간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임금수준을 근로시간과 관계없이 비교하기 위해서는 임금 총액을 일한 시간만큼 나눈 시간당 임금으로 나타내야 한다.
한국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2009년과 2015년을 제외하고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늘어났지만, 2020년에 다시 감소 하였다. 2020년 시간당 임금은 1만 9,316원으로 2006년 대비 72.9% 증가하였다. 시간당 임금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다. 2020년 기준 남성의 시간당 임금은 2만 2,086원인데 여성의 시간당 임금은 1만 5,372원에 불과하다. 하지만 2006년 대비 2020년 시간당 임금 증가율은 여성(94.2%)이 남성(69.1%)보다 높아 남녀 간 임금격차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2006년 여성의 시간당 임금은 남성의 60.6%에 그쳤으나 2020년에는 이 비율이 69.6%로 높아졌다.

4. 관련용어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근로자와 자영인의 중간영역에 있는 자로, 스스로 고객을 찾거나 맞이하여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 일한만큼 소득(수수료, 수당 등)을 얻고 노무제공의 방법이나 노무제공시간 등은 본인이 독자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임.(보험설계사, 학습지 교사, 퀵서비스배달기사, 골프장 캐디, 레미콘운전기사 등)


*본 포스팅은 2021 국가발전지표를 토대로 작성된 내용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