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장기실업률

나도부자다 2022. 3. 4. 22:50
728x90
반응형

1. 정의

실업자 중 장기실업자의 비율임. 장기실업자는 1년 이상 실업상태에 있는 자를 말함.

2. 추이

3. 해설

장기실업률은 실업자 중 1년 이상 장기실업자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 실업의 장기화는 경쟁력 상실로 이어져 구조적 빈곤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장기실업자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장기실업률은 2007년 이후 2017년과 2018년을 제외하고 1% 미만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한국은 OECD 국가들 가운데 멕시코와 함께 장기실업률이 가장 낮은 나라에 속한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장기실업률은 0.6%로 장기실업률이 비교적 낮은 캐나다의 1/9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의 장기실업률이 낮은 것은 장기실업자 중 구직을 포기한 실망실업자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4. 관련용어

실업자: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으며, 조사대상기간에 일이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2000년 이전에는 구직기간 1주 기준, 그 이후부터는 구직기간 4주 기준).

장기실업률 통계표

* 본 포스팅은 국가지표체계의 내용을 활용하여 작성된 내용으로 index.go.kr 에서 무료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