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한국 청년실업률

나도부자다 2022. 3. 4. 22:58
728x90
반응형

1. 정의

만 15-29세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상태에 있는 인구의 비율임. 만 15-29세 실업자수를 같은 연령대의 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2. 추이

3. 해설

청년층(만 15-29세)은 생산가능인구 중 가장 젊은 연령대의 인구집단이다. 경제에 새롭게 진입하는 청년층이 실업상태에 있다는 것은 노동력 활용과 노동시장 통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청년인구의 실업은 장기적으로 유휴인력을 양산하고 노동시장의 포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청년실업률은 2000년대 들어 7-8%대로 유지되어 왔으나 2014년 9.0%로 높아진 후 2016년과 2017년은 9.8%를 기록하였다. 2021년에는 다시 낮아져 7.8%이다. OECD 자료로 보면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2020년 기준 10.5%이며, 이는 OECD 평균 15.0%보다 낮은 수준이다.

4. 관련용어

유휴인력: 실업자와 노동시장에 들어오지 못할 특별한 이유없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는 인구.

실업자: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으며, 조사대상기간에 일이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2000년 이전에는 구직기간 1주 기준, 그 이후부터는 구직기간 4주 기준).

청년실업률: 15세에서 29세에 해당하는 청년층의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로, 재학 중인 학생이나 군인 및 구직단념자 등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어 청년실업률에 포함되지 않음.

청년실업률 통계표


* 본 포스팅은 국가지표체계를 참고하여 작성된 것으로 index.go.kr 에서 무료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