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고령화지수 / 한국 고령화지수

나도부자다 2022. 3. 17. 12:42
728x90
반응형

1. 정의
소년인구(0-14세)에 대한 노인인구(65세 이상)의 백분비임. 소년인구 100명당 노인인구가 몇 명인지를 나타냄.

2. 추이

3. 해설

고령화지수는 65세 이상 인구와 14세 이하 인구의 비로 인구고령화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이다. 한국의 고령화지수는 1970년대 중반까지 10 이하의 낮은 수준이었으나 1980년대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 20.0, 2000년 34.3, 2010년 67.2에 이어 2022년에는 152.0에 달하였다. 고령화지수의 급속한 상승 추세는 출산력 저하로 유소년인구의 비중이 낮아지고 사망력 저하로 노인인구의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이다. 당분간 저출산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층 진입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고령화지수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고령화지수는 폴란드, 덴마크, 스위스 수준에 근접해 있다(2020년 기준).

4. 관련용어

유소년인구: 0세~14세 인구.

베이비붐세대: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6·25전쟁 이후인 1955년부터 산아제한정책의 도입으로 출산율이 줄어드는 1963년까지 출생한 사람들을 지칭함. 1980년 중반 수출산업 호조, 1988년 올림픽 특수 등 고도 경제성장과 1997년 외환위기 및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경험함.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작성한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index.go.kr’ 에서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