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가시간 / 휴가활용률
1. 정의
여가시간은 평일과 휴일을 합한 일평균 여가시간임. 여가시간은 일, 가사, 수업 등 의무적인 활동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함.
2. 추이

3. 해설
여가시간은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삶의 질 수준을 가늠하는 기초 지표이자 여가활동의 기반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자기보고 방식으로 평일과 휴일 여가시간을 집계하고 있다. 이 조사에 의하면, 2020년 평일 여가시간은 3.7시간이고 휴일 여가시간은 5.6시간이다. 이 둘을 합한 요일평균 여가시간은 4.2시간이다. 여가시간은 평일에는 여자가 더 길고 휴일에는 남자가 더 길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노인인구의 여가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하루 24시간 중 여가시간이 차지하는 비율, 즉 여가시간비율을 통해 여러 국가들의 여가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한국의 여가 시간비율은 17.9%로 OECD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고, 노르웨이, 핀란드, 독일, 이탈리아 등의 국가들에 비하면 크게 낮다. 이들 국가의 여가시간비율은 22%를 넘는다.
4. 관련용어
여가시간: 15세 이상 인구가 1일 평균 일하고 남은 시간에서 생리적 필수시간을 제외한 자유시간임. 직업상의 일, 필수적인 가사일, 수업 등과 같은 의무적인 활동을 제외한 스포츠, 취미, 휴양 등의 활동에 할애되는 개인이 자기 뜻대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함.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