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우리나라 체감환경만족도
나도부자다
2022. 4. 13. 00:35
728x90
반응형

1. 정의
체감환경만족도는 거주지 생활환경에 만족하는 인구의 비율임. 통계청 「사회조사」(생활환경 부문)에서 대기, 하천, 토양, 소음·진동, 녹지환경, 빛 공해 각각에 대해 ‘약간 좋다’ 또는 ‘매우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환경에 대한 개인의 평가는 주관적 웰빙 관점에서 중요하다. 체감환경만족도는 생활환경에서의 주관적 웰빙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한국에서는 통계청에서 2년마다 실시하는 환경부문 「사회조사」로 국민의 환경만족도 수준과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환경만족도는 대기, 하천, 토양, 소음·진동, 녹지환경, 빛 공해 등 6개 분야로 나뉘어 측정되고 있다. 대기, 하천 및 토양 만족도는 모두 2012년 이후 낮아지는 추세였으나, 2020년에 향상되었다. 소음·진동 및 녹지환경 만족도는 2014년 이후 높아 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체감환경만족도는 모든 분야에서 농어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10~20포인트 정도 높게 나타났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