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의료정보

[뇌하수체 선종] 갑작스런 시력저하, 시야장애, 무월경, 유즙분비 등이 있으면 의심해보세요

나도부자다 2021. 7. 28. 12:32
728x90
반응형

1. 질환 소개 

뇌하수체 선종이란 뇌 조직 중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는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과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분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뇌하수체란 뇌의 정중앙부 하단에 위치한 신체기관으로, 주 기능은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이다. 이 호르몬들은 직접 신체에 영향을 미치거나 타 장기에 있는 호르몬샘의 기능 조절을 담당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를 총괄하게 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유즙분비 호르몬(Prolactin),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hic Hormone), 난포 자극 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황체 형성 호르몬(Leutenizing Hormone), 항 이뇨 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등이 있다.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중 성장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말단거대증 또는 말단비대증(acromagely)라고 하며,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쿠싱병(Cushing’s disease) 라고 하며, 유즙분비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프로락틴종(prolactinoma) 이라고 한다.

 뇌하수체선종은 뇌하수체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크기에 따라 최대 직경이 10 mm 이하인 미세선종과 10 mm 이상인 대선종으로 나눕니다. 그리고 임상적인 관점에서 볼 때는 과분비성/ 기능적 선종과 비분비성/ 비기능성 선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발병율

원발성 뇌종양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며, 호발 연령은 30 - 50대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다소 발생 빈도가 높다.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이 80% 정도로 더 흔하고,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중에서는 프로락틴종, 말단비대증, 쿠싱병의 순서로 흔하게 나타난다.

3. 원인

특별히 밝혀진 원인은 없다.

4. 일반적인 증상

[기능성 뇌하수체선종]
- 유즙분비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

가장 흔한 분비성 뇌하수체 종양으로 여성은 무월경과 다량의 유즙분비가 주된 증상입니다. 남성은 특징적인 증상 없이 성욕감퇴와 시력장애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 성장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말단비대증)
전체 뇌하수체선종의 약 20%를 차지하며, 중년에 잘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말단비대증,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긴 뼈의 성장판이 닫히기 전의 어린이는 성장에 따라 체구가 커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쿠싱병, Cushing Disease)
뇌하수체선종의 약 4~5%를 차지하며, 비만, 고혈압, 당뇨 및 비정상적으로 털이 많은 조모증 등이 나타나고, 피부가 엷어지면서 자색선이 생기는 특징적인 신체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쉽게 감염되고 창상치유가 어려우며 근육의 소모와 이완 및 피로감과 쇠약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
비교적 희귀한 선종으로 중등도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나타납니다.

[비기능성 뇌하수체선종]
전체 뇌하수체선종의 약 30~40 %를 차지합니다. 초기에는 호르몬에 의한 증상이 거의 없으나, 종양이 점차 자라서 거대선종이 되면 시신경을 압박해 시야결손 및 시력저하가 나타납니다. 또한 정상 뇌하수체를 압박했을 때 생기는 뇌하수체의 기능 저하 증상과 해면정맥동을 침범할 때 나타나는 제 3, 4, 5, 6번 뇌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종괴가 좀더 커지면 측뇌실이 통과하는 몬로공을 폐쇄시켜서 수두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요붕증, 성선기능 저하증, 갑상선기능 저하증 등과 같은 시상하부 병변에 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안격막과 기저 경막을 자극하여 일어나는 두통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양측두성 반맹은 뇌하수체선종의 가장 전형적인 임상증상이며, 이는 종괴가 시교차를 압박하거나 허혈에 의해서 발생하면 시력저하를 동반합니다.

5. 진단

뇌 MRI 검사가 주요 진단 방법이다. 뇌하수체 부위를 정밀하게 촬영하는 뇌하수체 부위 MRI 검사를 추가로 촬영하기도 한다. 코를 통해서 수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비동 CT 검사도 시행한다. 

6. 치료

뇌하수체선종의 치료는 크게 수술요법, 약물요법 및 방사선 치료 등이 있으며, 환자의 연령 및 일반 상태, 종양의 크기와 위치, 혈중 호르몬 수치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세웁니다.

치료의 목표는 종양을 제거하여 주위 조직에 영향을 주는 종양 효과를 없애고, 정상 호르몬 분비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 있습니다. 또한 치료 요법의 발달로 치료성적이 괄목할 만큼 향상되어 특히 대부분의 선종이 현미경을 이용한 경접형동 접근법으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신경내시경을 이용하여 최소 침습적 경접형동 접근법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며, 감마나이프 등의 방사선수술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뇌하수체 선종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본 포스팅은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종양센터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작성된 내용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