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교육연수는 만 6세 이상 인구 중 재학 중인 학생을 제외한 전 국민의 평균 교육연수임.
2. 추이

3. 해설
인적자원은 연구개발, 투자 등과 함께 경제성장의 중요한 동력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인적자원 수준은 그 국가 국민의 평균적인 교육수준으로 알아볼 수 있는데, 교육연수는 국민의 평균 교육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한국인의 평균 교육연수는 1980년 7.6년에서 1990년 9.5년, 2000년 10.5년, 2010년 11.6년, 2020년 12.5년으로 꾸준히 증가해 왔다. 남녀 모두 교육연수가 늘어 남자의 경우 1980년 8.7년에서 2020년 13.1년으로, 여자의 경우 같은 기간 6.6년에서 12.9년으로 증가하였다.
4. 관련용어
인적자원: 사람의 노동력을 조직, 국가의 생산 자원의 하나로 보는 관점으로 경제활동인구에 따른 인간의 노동력뿐만 아니라
인간의 기술, 능력 등도 모두 인적자원에 해당.
교육연수: 만 6세 이상 인구 중 재학 중인 학생을 제외한 전 국민이 몇 년간의 교육을 받았는지를 의미하는 지표로, 중퇴자는 각 중퇴 시점 기준의 교육연수를 적용하여 계산.

5. 개인의견
우리나라의 GDP 대비 공교육지출 비율은 상당히 높은 편으로 일본보다 높게 집계된다. 하지만 미국, 영국, 캐나다 등과 비교 했을 때 낮은 수치로 공교육에 대한 투자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여자를 기준으로 교육연수를 보면 남자 대비하여 상승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사회인식의 변화로 여자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고 남녀 성차이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정보] 연구개발투자비율(GDP 대비) (0) | 2022.02.21 |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창업률(2007~2019) (0) | 2022.02.21 |
[유용한 정보] 2020년 우리나라 총고정투자율 (0) | 2022.02.20 |
[유용한정보] 2020년 우리나라 시간당 노동생산성 (0) | 2022.02.18 |
[유용한정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1954~2020) (0) | 202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