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용률 3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고용률

1. 정의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만 15-64세) 중 특정 시점에 취업해 있는 인구의 비율임. 만 15-64세 취업자수를 같은 연령대의 전체 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취업자는 조사대상 주간에 소득, 이익, 봉급, 임금 등의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가구 단위 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일을 도와 준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를 포함함. 2. 추이 3. 해설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한 사람들의 비율, 즉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실제 취업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노동 시장의 현황을 핵심적으로 보여준다. 예전에는 고..

유용한정보 2022.02.23

2021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안녕하세요. '나도부자다'입니다. 21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팅은 통계청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요약] 1. 취업자 및 고용률 9개 도 시지역의 취업자는 1,312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5만 9천명(3.6%)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59.7%로 1.4%p 상승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71.6%), 충청남도 당진시(68.7%), 전라북도남원시(67.2%) 등에서 높았음 9개 도 군지역의 취업자는 206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9천명(1.4%)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7.3%로 1.4%p 상승 경상북도 울릉군(83.7%), 전라북도 장수군(78.8%), 충청남도 청양군(77.9%) 등에서 높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취업자는 1,089만 8천명, 고용률은 55...

유용한정보 2021.08.24

[청년 고용률] 2020년 청년층의 고용률은 42.2%, 실업률은 9.0%

2020년 청년층의 고용률은 42.2%, 실업률은 9.0%으로 나타났다. 20대 취업자의 직업별 구성비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28.2%, 사무종사자 22.1%, 서비스 종사자 15.2% 순서이며, 평균임금은 2019년 20~24세에서 215만 2천 원, 25~29세 258만 3천 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13~24세 청소년 10명 중 4명(39.9%)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안녕하세요. '나도부자다'입니다. 서두에 말씀드린 것 처럼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 고용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 고용률은 2018년을 시작으로 봤을 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자세하게 말씀드리자면 다음의 그래프를 참조 해주시기 바랍니다. 1. 직업별 취업자 ’20년 청년층(15~29세)..

유용한정보 2021.06.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