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가계동향조사 3

우리나라 문화여가지출률 / 여가자원 / 1인당 문화재정

1. 정의 문화여가지출률은 가계지출 중 문화여가지출의 비율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로 집계한 가계지출총액을 오락문화비로 나누어 산출함. 오락문화비는 영상음향기기(텔레비전 등), 사진광학장비, 정보처리장치, 영상음향 및 정보 기기 수리, 악기기구, 장난감 및 취미용품, 캠핑 및 운동 관련 용품, 화훼 관련 용품, 애완동물 관련 물품 등에 지출하는 비용을 말함. 2. 추이 3. 해설 가구의 문화여가지출은 여가자원의 투입 수준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문화여가지출의 총량은 문화여가시장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가구의 문화여가지출은 2006년 약 9만 3,000원에서 2018년 약 19만 2,000원까지 늘어났다가 2020년 약 14만원으로 줄어들었다. 가계지출에서 문화여가지출이 차지하는 비중, 즉 ..

유용한정보 2022.04.01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소득5분위배율

1. 정의 소득 상위 20% 집단의 평균소득을 소득 하위 20% 집단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배율임. 2. 추이 3. 해설 소득불평등 지표로 지니계수뿐만 아니라 소득5분위배율이나 상대적 빈곤율도 자주 사용된다. 소득5분위배율은 1분위(하위 20%) 소득집단 대비 5분위(상위 20%) 소득집단의 평균소득 배율로 5분위 소득이 1분위 소득의 몇 배인지를 보여준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전체 가구 자료와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로 계산한 2016년 소득5분위배율은 각각 5.45와 6.98이다. 두 자료 모두 전년 대비 소득5분위배율이 악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지니계수의 변화와 유사한 추세이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의 소득5분위배율(6.5)은 핀란드(3.9), 덴마크(3.8) 등 북유..

유용한정보 2022.03.04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가구중위소비

1. 정의 가구중위소비는 가구 균등화 중위소비지출임. 가구의 소비지출을 가구원수에 따라 표준화한 금액의 중위값임. 2. 추이 3. 해설 소비는 소득과 함께 가구의 후생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가구중위소비는 가구의 소비지출을 가구원수에 따라 표준화한 금액의 중위값을 구한 것이다. 물가수준을 반영하여 계산한 균등화 실질 중위소비지출은 2006년 121만 1,000원에서 2016년 128만 5,000원으로 6.1% 증가하였고, 이 기간 연평균 0.6%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는 같은 기간 가구소득 증가율(누적 증가율 16.9%, 연평균 증가율 1.6%)에 비해서는 훨씬 낮은 것이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

유용한정보 2022.03.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