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가구순자산

나도부자다 2022. 3. 3. 12:19
728x90
반응형

1. 정의

가구순자산은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에서 평균 부채를 차감한 금액임. 자산은 저축, 전·월세보증금 등을 포함하는 금융자산과
부동산, 자동차 등을 포함하는 실물자산으로 구성되고, 부채는 금융부채와 임대보증금으로 구성됨.

2. 추이


3. 해설

가구순자산은 가구의 자산에서 부채를 제한 것으로 웰빙의 지속에 직접적인 기반이 되는 축적된 재산의 규모를 보여준다. 가구 재산의 증감과 그 구성의 추이를 살펴보는 것은 국민의 재정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가구의 재정상태는 소비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거시경제에 미칠 영향도 파악할 수 있다. 전체 가구의 실질 순자산은 2010년 2억 5,333만 원에서 2020년 3억 4,421만원으로 35.9% 증가하였다. 명목 순자산은 같은 기간 57.3% 증가하였다.

4. 관련용어

금융부채: 외상매입금, 차입금 등과 같이 화폐가치의 변동과 상관없이 계약 등에 의하여 일정 화폐액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채. 부채: 재화나 용역의 차입을 전제로 부담하는 금전 상의 상환 의무.

순자산: 가구의 평균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액.

실물자산: 부동산, 기계, 장치 등과 같이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직접 사용되는 자산.

자산: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 무형의 재산.

상기 그래프를 보시면 가계순저축률은 IMF를 기점으로 하락하다가 2019년을 기점으로 다시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구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주요국 대비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부분이라 정책적으로 신경을 써야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칩니다.
- 이상 -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