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주택임대료비율은 주택임대료의 월소득 대비 비율임. 중위월임대료를 중위월가구소득으로 나누어 산출함.
2. 추이

3. 해설
주택임대료는 가구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ent to Income Ratio)은 소득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준다. 주택임대료 비율이 높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임대료 비율이 20%를 넘으면 주거비 부담이 과중하다고 판단한다.
주택임대료 비율은 2020년 16.6%로 2019년보다 0.5%p 증가하였다. 2006년 18.7%에서 2014년 20.3%까지 증가한 이후 감소추세이다가 2019년에 소폭 상승하였다. 주택임대료 비율은 지방보다 수도권이 높아 수도권의 주택임대료 비율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20%를 넘었다가 최근에야 20% 이하로 떨어졌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광역시도의 경우 2008년과 2010년에 하락한 후 15% 안팎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4. 관련용어
월소득대비임대료(RIR: Rent-to-Income Ratio): 월평균 소득에 대비 임대료의 비율을 의미하며, 무주택자가 주거를 위해 소득
에서 부담하는 비율임.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정보] 1인당 주거면적 (0) | 2022.03.08 |
---|---|
[유용한 정보] 인구 1000명당 주택수 (1) | 2022.03.08 |
[유용한 정보]] 주택매매가격변동률 (0) | 2022.03.07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 (0) | 2022.03.07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한국 청년실업률 (0) | 2022.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