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통근시간

나도부자다 2022. 3. 11. 12:32
728x90
반응형

1. 정의

통근시간은 통근인구가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집과 직장을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임.

2. 추이

3. 해설

통근시간은 근로자의 직장 접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통근은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통근시간은 일상생활의 편리성과 삶의 질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통근시간의 추이를 통해 직장과 주거지 간의 거리 변화, 업무지역과 주거지역의 변화, 토지이용과 지가의 변화, 통근 시간대 교통서비스 수준의 변화 등을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통근시간은 도시의 성장과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한 교외 거주 증가 때문에 불가피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인의 평균 통근시간은 증가하고 있다. 1995년 29.6분에서 2020년 34.8분으로 지난 25년간 5분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통근시간이 1시간 이상인 인구의 비율도 9.5%에서 15.3%로 5.8% 포인트 증가하였다. 한국인의 통근시간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길다.

4. 관련용어

통근인구: 12세 이상 인구 중 매일 정기적으로 집에서 직장에 근무하러 다니는 자를 의미함.

평균통근시간: 통근인구가 매일 집에서 직장까지 통행하는데 걸리는 평균 통행시간을 의미함.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