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가족관계만족도 / 대한민국 가족관계만족도

나도부자다 2022. 3. 18. 12:28
728x90
반응형

1. 정의

가족관계만족도는 전체 인구 중 본인의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하는 사람들의 비율임. 통계청이 2년 주기로 실시하는 「사회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함.

2. 추이

3. 해설

원만한 가족관계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이다.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만족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행복한 삶의 조건으로 작용한다. 개인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가족형태가 다양해지는 현실에서도 사람들은 귀속감과 유대, 친밀감의 원천으로 가족을 생각하고 행복한 가족생활을 소망한다.

가족은 성별 및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구성원들이 모여서 생활하는 집단이라는 특성상 잠재적 긴장과 갈등이 존재한다. 최근 들어 한국의 가족은 규범에 의해 유지되는 제도에서 정서적 관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그 의미가 변화되고 있다.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가족의 관계적 측면에 대한 높아진 기대가 얼마나 충족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더 나아가 가족생활의 질적 수준을 나타낸다.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2008년 56.1%에서 2018년 56.6%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20년에 58.8%로 증가하였다. 가족관계만족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조금 더 높다. 2020년 기준 남녀의 만족도는 각각 61.5%와 56.1%이다. 세대별로는 20대 미만 76.9%, 20대 67.8%, 30대 66.0%, 40대 58.5%, 50대 50.6%, 60대 이상 50.2% 등으로 나이가 들수록 만족도가 낮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