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의
인구 10만 명당 경찰관수는 경찰인력의 인구 10만 명당 수임. 별정직·일반직·기능직·계약직 공무원과 전·의경 및 해양경찰관은 제외됨.
2. 추이

3. 해설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일차적인 책임을 진 국가기관은 경찰이다. 경찰관은 사회의 안전과 질서 유지에 필요한 기본 인력 으로 이들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은 치안 환경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인구 대비 경찰관수가 많을수록 경찰이 치안 유지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국민의 웰빙 수준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경찰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인구 10만 명당 경찰관수는 1987년 159명에서 2020년 244명으로 지난 30년간 약 1.5배 증가하였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보면, 한국의 인구 10만 명당 경찰관수는 멕시코, 독일, 호주 등에 비해 크게 적다. 향후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른 치안서비스 수요의 증가를 고려하면 경찰인력의 증원이 필요해 보인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죄 재범률 / 3년 이내 재복역률 (0) | 2022.04.08 |
---|---|
범죄분석통계 / 형법범죄 기소율 (0) | 2022.04.08 |
우리나라 범죄 피해 두려움은 어떻게 나타날까요? (0) | 2022.04.07 |
우리나라 범죄피해두려움 / 야간보행안전도 (1) | 2022.04.06 |
우리나라 범죄피해율 / 폭력범죄 / 재산범죄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