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의
환경산업비율은 환경산업 전체 매출액의 GDP 대비 비율임. 연간 환경산업 매출액을 해당 연도 GDP로 나누어 산출함. 환경산업이란 환경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시설과 측정기기 등을 설계·제작·설치하거나 환경기술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말함.
2. 추이

3. 해설
환경산업은 오염예방과 자원절약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환경과 경제의 상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산업은 일찍부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OECD는 1999년에 환경산업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고, 한국에서도 2000년대 초부터 국내 환경산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조사를 시작 하였다. GDP 대비 환경산업 비율은 환경보호나 자원절약을 위한 산업활동이 전체 경제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환경산업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환경산업 매출액은 2004년 약 21조원에서 2019년 약 101조 원으로 급속하게 성장 하였다. 이에 따라 GDP 대비 환경산업 매출 비율도 2004년 2.36%에서 2019년 5.23%로 높아졌다. 환경산업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10.8%를 넘는데, 이는 같은 기간 명목 GDP 증가율 5.13%의 2배가 넘는 수치이다. 하지만 환경산업 통계조사의 대상 범위가 계속 확대되어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환경산업 성장률은 이보다 낮다고 볼 수 있다.
4. 관련용어
매출액 및 환경부문매출액: 매출액이라 함은 각 사업체에서 당해 연도에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한 매출액 또는 용역(서비스)을 제공하고 벌어들인 수입금액을 말하며 환경부문매출액은 전체 매출액 중 환경산업 활동으로 발생한 매출액.
환경보호비용: 환경보호활동을 위해 정부, 기업, 가계 등 경제주체가 부담하는 지출액을 말함. 투자지출(건물, 토지, 설비 등)과 경상지출(재료비, 인건비, 관리운영비 등)을 합한 금액에서 부산물수입을 빼서 구함.
환경산업: 기후대기, 물, 환경복원·복구, 환경안전·보건, 자원순환, 지속가능 환경·자원, 환경지식·서비스 분야 등 환경보전 및 관리를 위한 환경시설 및 측정기기 등을 설계·제작·설치하거나 환경기술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활동.
환경산업활동분류: OECD 환경재화와 서비스 산업 매뉴얼에 근거한 환경보호활동의 구분으로 크게 오염관리, 청정기술 및 관련 제품, 자원관리의 세 그룹으로 나누며, 그룹별 대기, 폐수, 폐기물 등 27개의 세부활동으로 분류하여 직접조사.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생생물종수 / 멸종위기야생생물종수 (0) | 2022.04.13 |
---|---|
우리나라 체감환경만족도 (0) | 2022.04.13 |
화학물질배출량 / 화학사고발생건수 / 유해화학물질 (0) | 2022.04.12 |
우리나라 폐기물 발생량 / 폐기물재활용률 / 생활폐기물발생량 (0) | 2022.04.11 |
한국 먹는물 수질 기준 초과율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