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의료정보

[척추협착] 허리와 다리에 묵직한 통증과 뻣뻣함이 느껴지고, 허리를 구부리면 편하고 펴면 통증이 느껴지나요? 척추협착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나도부자다 2021. 7. 12. 19:3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나도 부자다'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질병코드 M48.0 척추협착(Spinal stenosis) 증상 및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출처:서울아산병원
정의
  • 척추관은 척추 뼈 사이에 있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입니다.
  • 척추 협착증은 이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를 말하며, 척추관 협착증 또는 협착증이라고도 불립니다.

원인
  • 원인이 광범위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몇 가지 특성에 따라 분류 합니다.

- 선천성, 발육이상: 특발성, 연골무형성증
- 후천성 협착증
: 퇴행성, 척추 분리증, 척추 전방 전위증, 의인성, 외인성
- 기타: Paget씨 병, 불소 침착증

증상
  • 초기증상은 허리와 다리에 묵직한 통증과 뻣뻣함이 느껴집니다.
  • 걸을 때 통증과 피로감이 나타나 오래 걷지 못하고, 조금 쉬면 증상이 덜해지는 신경학적 파행이 나타납니다.
  • 허리를 펼 때 통증이 심하고, 구부릴 때 통증이 덜해짐.
  • 다리에 힘이 떨어지며, 가벼운 촉감은 정상일 수 있으나 통증과 온도 감각이 떨어지게 됩니다.

진단
  • X-ray: 디스크 공간이 좁아지고 척추 전방 전위증이나 골극 등의 퇴행성 변화가 보입니다.
  • MRI: 쳑추 뼈와 주변 인대,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1. 보존적(비수술적) 치료
- 척추관 협착증 환자는 급격한 증상의 악화나 기능의 저하는 드물기에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 방법에는 일상 활동의변화, 적절한 운동, 물리 치료, 요추 보조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항우울제, 비강 분무 칼시토닌 등 다양한 약물 치료, 유발점주사, 경막 내 스테로이드 주사, 도수 치료, 침, 초음파, 전기 자극 치료, 열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2.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

급격히 다리의 힘이 약해지고 대소변 기능의 장애가 발생하는 등 신경 증상이 악화되는 환자가 아니면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은 응급하게시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는 신경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보존적 치료로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 지속적인 장애, 일상 생활의 제한이 있는경우입니다. 요통 그 자체만으로는 수술의 적응증이 되지 않습니다.

예후
  • 제대로 치료하지 않는다면 통증 재발률이 높습니다. 첫 증상 발생 후 재발률이 1년 내 50%, 2년 이내 60%, 5년 이내는 70%에 달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해지거나 보행 불편으로 오는 기능 장애가 크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생활관리
  • 보행 시 신경학적 파행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리고 앉아서 쉬어야 하며, 증상이 감소한 이후에 다시 걸어야 합니다.
  • 잘못된 자세와 물건이라도 허리를 구부리기보다 앉은 자세에서 물건과 밀착 한 상태로 들어야 합니다.
  • 오래 앉아있는 것도 척추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20~30분에 한 번씩 일어나서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 평소에 허리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여 허리와 코어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 합니다.


이상으로 척추협착증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건강에 유의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