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노동생산성 2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근로시간 및 취업자근로시간

1. 정의 근로시간은 임금근로자의 월간 총근로시간임. 총근로시간은 소정근로시간과 초과근로시간을 합한 시간임. 2. 추이 3. 해설 근로시간은 근로자의 삶의 질과 노동생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장시간근로는 근로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므로 이를 얼마나 줄여나가느냐에 사회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월간 총근로시간은 근로자들이 1개월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긴 시간 동안 일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근로시간은 장시간근로자가 증가하면 늘어나고 단시간근로자가 증가 하면 줄어들게 된다. 한국 임금근로자의 월간 근로시간은 2009과 2015년을 제외하고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감소하였지만, 2020년 163.6시간 으로 전년대비 11.2시간 증가하였다. 성별로는 남성근로자의 근로시간이..

유용한정보 2022.02.24

[유용한정보] 2020년 우리나라 시간당 노동생산성

1. 정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1인당 GDP를 총노동시간으로 나눈 것임. 노동자들이 단위노동시간 동안 산출하는 생산량의 평균 시장 가치를 나타냄. 노동시간 대신 노동자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국가 간 비교에는 노동시간이 사용됨. 2. 추이 3. 해설 노동생산성은 GDP를 총노동시간으로 나눈 것으로 노동자의 평균 숙련도, 자본축적 정도, 과학을 기술에 적용하는 수준의 발전단계, 생산과정의 사회적 결합방식, 생산수단의 규모와 작업능력, 자연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노동생산성은 기업의 발전은 물론 경제 전체의 성장가능성을 측정하고 한 국가의 국제경쟁력을 비교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다.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200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2000년 1만 2,286원에서 2..

유용한정보 2022.02.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