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1인당 물사용량은 급수인구 대비 일평균 생활용수량임. 1인당 물사용량이 적을수록 해당 지역의 물사용량이 적거나 누수량이 적음을 나타냄. 이는 수도사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함. 2. 추이 3. 해설 인구가 늘어나 1인당 사용가능한 수자원의 양이 감소하더라도 사람들의 물사용량이 적어지거나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제대로 설치.관리되고 있다면 물 부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을 담는 시설용량을 키우는 것보다 새는 물을 막거나 물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1인당 물사용량은 물사용의 효율성을 진단할 수 있게 해 주는 지표이다. 한국의 1인당 일평균 물사용량은 2000년대 중반 이후 270-295L(2006-2019년 평균 282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