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실업자 3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한국 청년실업률

1. 정의 만 15-29세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상태에 있는 인구의 비율임. 만 15-29세 실업자수를 같은 연령대의 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2. 추이 3. 해설 청년층(만 15-29세)은 생산가능인구 중 가장 젊은 연령대의 인구집단이다. 경제에 새롭게 진입하는 청년층이 실업상태에 있다는 것은 노동력 활용과 노동시장 통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청년인구의 실업은 장기적으로 유휴인력을 양산하고 노동시장의 포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청년실업률은 2000년대 들어 7-8%대로 유지되어 왔으나 2014년 9.0%로 높아진 후 2016년과 2017년은 9.8%를 기록하였다. 2021년에는 다시 낮아져 7.8%이다. OECD 자료로 보면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2020년 기준 10.5%이며, 이는 OE..

유용한정보 2022.03.04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장기실업률

1. 정의 실업자 중 장기실업자의 비율임. 장기실업자는 1년 이상 실업상태에 있는 자를 말함. 2. 추이 3. 해설 장기실업률은 실업자 중 1년 이상 장기실업자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준다. 실업의 장기화는 경쟁력 상실로 이어져 구조적 빈곤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장기실업자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장기실업률은 2007년 이후 2017년과 2018년을 제외하고 1% 미만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한국은 OECD 국가들 가운데 멕시코와 함께 장기실업률이 가장 낮은 나라에 속한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장기실업률은 0.6%로 장기실업률이 비교적 낮은 캐나다의 1/9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의 장기실업률이 낮은 것은 장기실업자 중 구직을 포기한 실망실업자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4. 관련용어 실..

유용한정보 2022.03.04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고용률

1. 정의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만 15-64세) 중 특정 시점에 취업해 있는 인구의 비율임. 만 15-64세 취업자수를 같은 연령대의 전체 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취업자는 조사대상 주간에 소득, 이익, 봉급, 임금 등의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가구 단위 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일을 도와 준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를 포함함. 2. 추이 3. 해설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한 사람들의 비율, 즉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실제 취업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노동 시장의 현황을 핵심적으로 보여준다. 예전에는 고..

유용한정보 2022.02.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