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0세의출생자가향후생존할것으로기대되는평균생존연수 2. 측정방법 0세의기대여명 3. 주요내용 2020년 83.5세, 전년대비 0.2세 증가 건강상태는 기본적으로 사망과 질병 수준으로 측정될 수 있고, 사망수준은 인구의 수명에 영향을 준다. 사망수준이 낮아지면 인구의 수명이 늘어난다. 기대수명이나 영아사망은 인구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로 광 범위하게 활용된다. 기대수명은 특정 연도의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의미한다. 정확하게는 ‘0세의 기대여명’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인구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0년 83.5세로 20년 이상 늘어났다. 2000년 76.0세에서 2005년 78.2세, 2010년 80.2세로 증가하여 2000년 이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