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주거환경만족도는 거주지 주거환경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인구의 비율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서 자신의 거주지 주거 환경 전반에 대해 ‘매우 만족’ 또는 ‘대체로 만족’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주거의 질은 살고 있는 지역의 주거환경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거주자의 주관적 평가로 측정 되는 주거의 질 지표이다. 주거환경만족도는 「주거실태조사」에서 주거환경에 만족하는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되는데, 이 조사로 측정한 주거환경만족도는 지난 10년간 80% 내외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 주거환경만족도는 86.4%로 전년보다 증가하였다. 주거환경만족도는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소득이 많을수록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