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인구 1000명당 주택수는 인구 1000명당 주택호수임. 당해 연도 총주택수를 총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2. 추이 3. 해설 인구 1000명당 주택수는 인구 대비 주택호수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주택의 수급과 재고 상태를 보여준다. 인구 대비 주택수가 증가하면 주택 수급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인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가구수를 기준으로 산정 하는 주택보급률보다는 인구 1000명당 주택수가 주택보급 상황의 변화를 파악하기에 더 좋은 지표이다. 인구 1000명당 주택수는 국제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국가 간 비교에도 용이하다. 한국의 주택 상황은 지속적인 공급으로 만성적인 부족 상태를 거의 벗어났다. 1995년 전국과 수도권 및 지방의 인구 1000명당 주택수는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