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학교생활만족도는 13세 이상 학생 인구 중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인구의 비율임. 통계청「사회조사」에서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해 ‘매우 만족’ 또는 ‘약간 만족’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학교의 물리적인 환경 및 시설 수준만으로는 교육의 질적 조건과 과정을 측정하기 어렵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심리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와 같은 학생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 학교교육의 질을 가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2008년 51.0%를 나타낸 후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18년 58.0%, 2020년 59.3%로 개선되는 추세이다. 성별로는 남학생의 만족도가 여학생보다 약간 높다. 교육단계별로는 대학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