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현재의 출산수준이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15세에 해당하는 한 여자가 가임기간이 끝나는 49세까지 출산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임. 연령집단별(5세 간격) 출산율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함.
2. 추이

3. 해설
합계출산율은 인구의 연령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출산력 지표로 연령구조가 상이한 국가나 집단 간의 출산수준 비교에 널리 사용된다. 합계출산율은 모아비, 일반출산율, 재생산율 등과 같은 출산력 지표에 비해 그 의미 파악과 해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여 1983년에는 대체수준(2.10) 아래인 2.06으로 떨어졌다. 2000년대 들어 저출산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합계출산율은 2000년 1.48, 2010년 1.23, 2021년 0.81로 계속 낮아지고 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00년대 진입 이후 홍콩과 마카오 등을 제외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의 감소 추세는 한국 인구에만 국한되는 현상이 아니다. 최근 유럽 동부지역과 지중해연안 그리고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도 합계출산율의 급격한 감소 추세가 관찰된다.
4. 관련용어
모아비: 가임연령(15~49세) 여자인구에 대한 0~4세의 유아인구비.
일반출산율: 총출생아수를 당해연도의 가임 여자인구(15~49세 여자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
재생산율: 한 여인이 일생 동안 여아를 몇 명 낳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국가지표로 index.go.kr’ 에서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부양인구비 / 한국 부양인구비 (0) | 2022.03.17 |
---|---|
[유용한 정보] 한국에 있는 체류외국인수 (0) | 2022.03.17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조사망률 (0) | 2022.03.16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인구성장률 (0) | 2022.03.16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도로교통사고사망률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