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의
우울감경험률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는 인구의 비율임.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최근 1년 동안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우리는 정신적으로 압박감을 느낄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말한다. 그런데 스트레스보다 더 지속적이고 일상의 의욕을 잃게 하는 상태를 우울이라 한다. 우울감경험률은 정신건강 지표의 하나로 주관적 우울증상 경험 정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말하는 우울감은 일상적인 스트레스보다는 심각하지만 의학적 진단에 의한 질환으로서의 우울증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로 파악한 우울감경험률은 2019년 기준 10.2%이다. 우울감경험률은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난다.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우울증상을 더 많이 경험한다. 연령별로는 20대에 비교적 많이 경험하다가 30-40대에 감소한 후 50대부터 다시 늘어나 60대 이상 노년층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다.
4. 관련용어
우울장애유병률: 우울증선별도구(PHQ-9) 총점 27점 중 10점 이상인 인구 비율.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월간폭음률 / 대한민국 월간폭음률 (0) | 2022.03.23 |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현재흡연율 / 대한민국 현재흡연율 (0) | 2022.03.22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주관적 건강상태 / 대한민국 주관적 건강상태 (0) | 2022.03.21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기대수명 / 대한민국 기대수명 (0) | 2022.03.21 |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독거노인비율 / 대한민국 독거노인비율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