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월간폭음률 / 대한민국 월간폭음률

나도부자다 2022. 3. 23. 00:03
728x90
반응형

1. 정의

월간폭음률은 만 19세 이상 인구 중 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의 경우 7잔(또는 맥주 5캔) 이상, 여자의 경우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 음주한 인구의 비율임.

2. 추이

3. 해설

음주는 흡연과 함께 건강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음주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한 정책 과제가 되고 있다. 음주 지표로는 국민들의 평균적인 알코올소비 수준을 측정하는 1인당 알코올소비량과 음주할 때 폭음하는 사람들의 비율을 측정하는 위험음주율 또는 월간폭음률이 있다.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 7잔, 여자 5잔 이상 마시는 경우를 폭음이라 하고, 이는 알코올 약 60그램을 함유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이러한 폭음을 월 1회 이상 하는 사람들의 비율을 월간 폭음률이라 한다. 술의 종류에 따라 알코올 함유량이 다르지만, 농도가 낮은 술은 잔이 크고 농도가 높은 술은 잔이 작기 때문에 술의 종류에 관계없이 5-7잔 이상 마신 경우를 폭음으로 간주한다. 폭음을 월 1회라도 하면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월간폭음률은 보건학적으로 의미가 크다.

한국인의 월간폭음률은 2019년 현재 38.7%로 매년 큰 변화 없이 30% 후반대를 나타내고 있다. 월간폭음률은 남녀 간에 차이가 큰데, 2019년 기준 남자 52.6%, 여자 24.7%로 남자가 두 배 이상 높다. 남자는 30대가 62.0%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낮아지기는 하지만 70대 이상도 27.1%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여자는 20대가 44.1%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60대와 70대 이상은 10% 이하로 낮아진다. 한국 여성은 흡연에 비해 음주를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관련용어

국민건강영양조사: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관련 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관한 조사.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