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나도부자다입니다.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고령화 현상과 관련한 내용을 의료정보를 통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KERI 한국경제연구원에 보도자료(저출산. 고령화 추세 국제비교와 정책 시사점)에 따르면 ′70년∼′18년 기간 동안 OECD 37개국 중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이미 2017년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가 되었으며, 2021년 4월 현재 16.7%가 노인인구 구성비이다. 통계청에서는 2025년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 대비 20.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출산율 연평균 증감률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70년 4.53명에서 ′18년 0.98명으로 연평균 3.1%씩 감소해 OECD 37개국 중 저출산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령화 속도 역시 우리나라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70년~′18년 우리나라의 고령화 비율 연평균 증가율은 3.3%로 OECD 37개국 중 가장 빨랐다. 이 추세대로면 고령사회 진입 8년 만인 '26년에 ‘초고령사회’(고령인구 비중 20%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OECD는 예측했다. 50년에는 OECD 국가 중 고령화 비율 3위에 도달할 전망이다.
상기의 데이터와 같은 통계를 건강보험 감사 결정분 자료를 이용하여 증명해보고자 한다.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연도별 급여의약품수, 의약품비 등에 대한 통계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65세 이상 인구 진료비 및 의약품 비중을 확인한 결과 '15년부터 '19년까지 지속적으로 노인인구(65세 이상 인구를 노인인구라고 함) 진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총진료비 대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15년 노인인구 진료비 비중이 36.8%에서 '19년 40.5%로 3.7% P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총진료비는 '15년 대비 '19년이 47.9% 증가했으나 노인인구 진료비는 '15년 대비 '19년이 62.6% 증가하였다. 이는 노인인구의 증가로 병원 진료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건강보험지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입원환자 질병별 환자수에 대한 통계를 보면 질병별 환자수의 1위가 노년백내장이며, 요양급여비용 총액 1위가 알츠하이머병(치매) 인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의 고령화 통계와 의료정보 관련 통계가 일맥상통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출산율이 감소되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질 경우 사회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노인인구의 병원 진료는 늘어날 것이며, 비용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므로 의료보험료의 증가 등 실제 근로소득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으며, 도움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유용한정보 >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 골다공증] 뼈가 약해지고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젊은 나이부터 지속관리가 필요해요. (5) | 2021.07.13 |
---|---|
[척추협착] 허리와 다리에 묵직한 통증과 뻣뻣함이 느껴지고, 허리를 구부리면 편하고 펴면 통증이 느껴지나요? 척추협착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6) | 2021.07.12 |
[퇴행성 무릎관절염] 아침에 일어나거나 관절을 오래 사용하지 않았을 때 경직되는 느낌이 있나요? 관절염을 의심해봐야합니다. (2) | 2021.07.12 |
[류마티스관절염] 자고 일어난 후 아침에 손가락 등 통증? 류마티스관절염 의심해봐야 (17) | 2021.05.21 |
[유방암] 여성이 걸리는 최다 발생 암, 유방암 통계를 알아본다. (2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