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의료정보

[희귀질환정보_P35.0] 선천성 풍진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나도부자다 2021. 9. 19. 07:59
728x90
반응형


I. 개요 General Discussion

선천풍진증후군은 산모의 감염으로 인해 태아가 자궁 내에서 풍진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때 발생한다. 심장과 신경계, 눈과 귀의 기형이 주된 증상이다. 임신 중 풍진에 노출된 여성은 선천풍진증후군 아이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태아는 대부분 임신 첫 3개월 간 풍진 바이러스에 취약하다. 그렇기 때문에 선천풍진증후군의 유병률은 가임기 여성의 수와 지역사회에서 풍진 감염 발생률에 따라 달라진다. 풍진 예방접종이 나오기 전까지는 매 6-9년마다 풍진의 유행이 있었고 그런 시기에 선천풍진증후군은 신생아의 2%에 달했다. 산모가 풍진에 감염될 경우 임신 주수 8주까지는 85%, 12주에는 50%, 13-20주에는 15%, 20주 이후에는 거의 0%가 태아 감염을 일으킨다.



II. 증상 Symptoms

뇌간의 이상에서 오는 감각신경성 난청, 백내장 등의 안과 질환, 폐동맥 협착과 같은 선천성 심혈관기형, 뇌 손상, 지적 이상, 소두증, 강직성 양측마비, 조산, 저체중 출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선천풍진증후군이 진행성으로 발현하는 만성 감염일 경우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청력손상, 지적장애, 행동이상, 운동발달이상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III. 원인 Causes

풍진 예방주사를 맞지 않은 산모가 임신 직전이나 임신 첫 12주간의 산모의 풍진 감염이 있을 경우


IV. 진단 Diagnosis

산모의 풍진 항체(IgG, IgM) 검사, 태아혈액(임신 주수 22주 이후)에서 풍진 IgM 항체 검사, 양수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확인, 신생아의 혈액에서 특이 IgM 확인.


V. 치료

선천풍진증후군의 치료법은 없으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모든 아이들이 12-15개월, 만 4-6세에 MMR 예방접종을 하여 유행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풍진에 대한 면역이 없는 가임기 여성의 예방접종을 하도록 하고, 접종 후 28일 이내에는 임신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임상시험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Search of: Congenital rubella syndrome - List Results - ClinicalTrials.gov

www.clinicaltrials.gov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