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의료정보

[희귀질환정보_E88.1] 선천성 전신지방디스트로피 (Congenital systemic lipodystrophy)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나도부자다 2021. 9. 19. 20:24
728x90
반응형

I. 개요 General Discussion

선천성 전신성 지방이영양증 (Congenital Generalized Lipodystrophy, Berardinelli- Seip congenital lipodystrophy, BSCL)은 드문 상염색체 우성 질환으로 인슐린 저항성, 피하지방의 부재, 그리고 근육의 비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보통 출생 직후 혹은 신생아기에 진단됩니다.

선천성 전신성 지방이영양증 환자들은 인슐린저항성이 생기며, 25%-35% 정도에서 15-20년 사이에 당뇨병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방간에 의한 간비대와 골격근의 비후가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나타납니다. 비후성 심근병증은 20-25%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심부전과 조기사망의 원인이 됩니다.



II. 증상 Symptoms

선천성 전신성 지방이영양증은 시기에 따라 다른 임상양상을 보입니다.
심한 경우는 출생 전부터 자궁 내 성장지연을 보이기도 합니다. 생후 1개월 내에 성장장애를 나타내거나 혹은 식욕이 비정상적으로 왕성하며 거인증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때, 피하지방의 위축증과 간비대, 근육 비대를 보여 거대 혀 등의 얼굴 형태 이상이 관찰되며 발달지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가 성장할 수록 목 뒤와 사타구니 등에 극색흑 세포종(acanthosis nigricans)이 나타나는데 이는 피부의 인슐린 저항성 증후이다.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지방간에 의한 간의 비대이다. 간 비대와 더불어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가 높아지는 게 이 질환의 특징이며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며 이에 따라 당뇨병이 발생합니다. 당뇨병의 증상으로 체중감소, 다 갈, 다뇨, 무력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10세 이후에 나타납니다. 또한 심장근 비대에 의한 고혈압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흔히, 손, 발, 턱 부위에 말단 비대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사춘기 이후에는 여성에서 음핵 비대, 희발월경, 무월경 혹은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III. 원인 Causes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지방조직에서 중성지방합성 과정 중 효소 AGPAT2 (1-acylglycerol-3-phosphate O-acyltransferase)의 변이와 연관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전구지방세포가 발생하지 않거나 분화의 장애가 생겨 중성지방 합성 및 저장의 장애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기능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은 BSCL2 유전자의 변이가 BSCL과 연관이 있음이 알려져 있습니다.

IV. 진단 Diagnosis

진단은 임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 진단 기준에서 3개를 만족시키거나, 2개의 주 진단기준과 2개 이상의 부 진단기준을 만족시킬 때 선천성 전신성 지방이영양증을 진단합니다.
▶ 주 진단기준

  • 몸통, 상하지와 얼굴을 침범하는 지방 위축 : 일부에서 출생 시 얼굴은 정상일 수 있으며, 생후 한 달 이내에 진행하기도 합니다. 지방이영양증은 골격근의 비후가 동반되면서 운동선수 같은 생김새를 띄게 합니다.
  • 말단거대증 모양의 체형 : 턱 돌출증, 안와 뼈의 돌출, 큰 손과 발, 거대 성기, 거인증, 근육 비대, 뼈 나이의 증가
  • 간비대 : 지방간에 의한 간비대가 나타나며, 말기에는 간경화에 이르게 됩니다.
  • 혈청 중성지방의 증가 : 800mg/dL까지 증가하기도 하며, 때때로 고콜레스테롤혈증과 연관되어 나타납니다.
  • 인슐린 저항성 : 혈청 인슐린과 C-peptide의 증가가 생후 첫 해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10세 이후 당뇨병이 발병합니다.

▶ 부 진단기준

  • 비후성 심근병증
  • 정신운동지연 또는 경미(IQ 50-70)하거나 중등도(IQ 35-50)의 인지장애
  • 남성형 다모증(Hirsutism)
  • 여성의 성조숙증
  • 뼈 낭종
  • Phlebomegaly : 팔, 다리의 피하지방 부족으로 정맥이 튀어나와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 기타
현재 원인으로 밝혀진 유전자들(AGPAT2, BSCL2)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검사가 가능합니다.
임신 9-12주 사이에 융모막 생검을 통해 산전진단이 가능합니다.

V. 치료

메트포르민이 고혈당을 보이는 환자에서 주 치료제로 쓰입니다. 메트포르민은 식욕을 조절하고 지방간과 다낭성 난소증후군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낮춰줍니다. 선천성 전신성 지방이영양증 환아는 평생 식이조절이 필요합니다. 탄수화물 섭취 제한이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고 중성지방혈증이 있는 경우, 총 지방 섭취량을 총 식사 열량의 20-30% 사이로 제한하는 것이 권유됩니다. 또한, 고 섬유소 섭취가 추천됩니다. 당뇨병이 발생되면, 정기적으로 소변, 망막, 말초신경, 신기능 검사 및 심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BSCL2 돌연변이에 의한 경우 80%에서, AGPAT2 돌연변이에 의한 경우 10%에서 정신지연을 동반하므로 특수교육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임상시험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https://www.clinicaltrials.gov/search?cond=Congenital%20systemic%20lipodystrophy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