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상대적빈곤율 3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소득5분위배율

1. 정의 소득 상위 20% 집단의 평균소득을 소득 하위 20% 집단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배율임. 2. 추이 3. 해설 소득불평등 지표로 지니계수뿐만 아니라 소득5분위배율이나 상대적 빈곤율도 자주 사용된다. 소득5분위배율은 1분위(하위 20%) 소득집단 대비 5분위(상위 20%) 소득집단의 평균소득 배율로 5분위 소득이 1분위 소득의 몇 배인지를 보여준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전체 가구 자료와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로 계산한 2016년 소득5분위배율은 각각 5.45와 6.98이다. 두 자료 모두 전년 대비 소득5분위배율이 악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지니계수의 변화와 유사한 추세이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의 소득5분위배율(6.5)은 핀란드(3.9), 덴마크(3.8) 등 북유..

유용한정보 2022.03.04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상대적 빈곤율

1. 정의 균등화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의 비율임. 2. 추이 3. 해설 소득불평등 지표로 지니계수 뿐만 아니라 소득5분위배율이나 상대적 빈곤율도 자주 사용된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의 비율을 말하는데, 이는 곧 빈곤가구의 규모를 나타낸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자료로 계산한 상대적 빈곤율은 2020년 15.3%로 지난 2011년의 18.6%에서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OECD 자료로 보면, 2018년 기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16.7%)은 미국(17.8%)에 비해 낮지만 영국(11.7%), 독일(10.4%), 프랑스(8.5%) 등에 비해서는 높다. 4. 관련용어 균등화중위소득: 가구소득을 가구원수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조정한 값을 가구 균등화 소..

유용한정보 2022.03.04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지니계수

1. 정의 지니계수는 소득분배 또는 소득불평등 지수임.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불평등이 낮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불평등이 높음을 나타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으로 작성됨. 2. 추이 3. 해설 지니계수는 국민의 소득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이다. 소득불평등의 심화는 경기활성화와 경제성장을 저해 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 갈등과 불안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소득불평등의 정도와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러 국가들의 지니계수를 비교함으로써 소득불평등의 국가 간 차이를 파악할 수 있고, 한 국가의 지니계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소득 불평등의 추이를 관찰할 수 있다. 세전(시장)소득과 세후(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산출된 지니계수를 비교함으로써 정부의 소득 재분배..

유용한정보 2022.03.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