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살률 2

우리나라 자살률 ~2020년

1. 정의 인구10만명당자살로인한사망자수 2. 측정방법 자살률 = (자살로 인한 사망자수 ÷ 주민등록연앙인구) × 100,000 3. 주요내용 2020년 10만 명당 25.7명, 전년대비 1.2명 감소 모든 자살이 삶의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삶의 만족도와 자살률은 서로 관계가 있다. 자살은 우울증과 연관되어 개인의 정신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로 개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높다. 또한 자살률은 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통합의 정도를 보여주며, 특히 사회적인 급격한 변동이나 불안정성의 증가가 나타나는 경우 자살률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2020년 전체 자살자수는 13,195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25.7명이다. 전년과 비교하면 인구 10만 명당 1.2명이 감소하였다..

유용한정보 2022.07.20

삶의 만족도 / 행복도 / 자살률

1. 정의 삶의 만족도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대해 주관적인 만족정도 측정. 2. 추이 3. 해설 주관적 웰빙을 측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인 만족의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동일한 조건에서도 개인간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2020년 기준 만 19~69세인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한 삶에 대한 만족도는 6.1점으로 2019년 6.0점에 비해 0.1점 증가하여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2013년 5.7점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남자와 여자 모두 6.0점으로 성별 간 차이는 없으며,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에서 5.7점으로 가장 낮다. 국제비교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는 2018~20년 5.85점으로 OECD 평균 (6.7..

유용한정보 2022.04.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