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삶의 만족도 / 행복도 / 자살률

나도부자다 2022. 4. 10. 22:18
728x90
반응형


1. 정의

삶의 만족도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대해 주관적인 만족정도 측정.

2. 추이

3. 해설

주관적 웰빙을 측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인 만족의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동일한 조건에서도 개인간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2020년 기준 만 19~69세인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한 삶에 대한 만족도는 6.1점으로 2019년 6.0점에 비해 0.1점 증가하여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2013년 5.7점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남자와 여자 모두 6.0점으로 성별 간 차이는 없으며,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에서 5.7점으로 가장 낮다. 국제비교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는 2018~20년 5.85점으로 OECD 평균 (6.71점)보다 0.9점 정도 낮으며, 일본과 비슷하다. 반면, 덴마크, 핀란드 등의 국가는 7.6점 이상으로 높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