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의
사회이동가능성인식은 사회계층의 상승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인구의 비율임.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세대 간 사회이동 가능성과 세대 내 사회이동가능성 각각에 대해 ‘매우 높다’ 또는 ‘비교적 높다’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사회적 이동가능성은 개인의 일생 동안 혹은 자녀세대에서 현재보다 사회적 지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얼마나 낙관적으로 보는지를 통해 측정된다. 미래의 사회이동 기회에 대한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기대는 현재 상태를 개선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희망과 의지를 갖도록 한다.
2021년 현재 세대간 사회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30.3%, 세대 내 사회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25.5%에 그친다. 한국인은 세대 간이든 세대 내이든 사회이동가능성을 비관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세대 내 이동가능성에 대해 더 비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사회이동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다. 대졸 이상 학력층의 사회이동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낮아지고 있다.
4. 관련용어
사회계층: 한 사회 내 구별되는 구성원집단.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PM2.5) 농도 / 미세먼지(PM10)농도 (0) | 2022.04.10 |
---|---|
삶의 만족도 / 행복도 / 자살률 (0) | 2022.04.10 |
사회적 고립도 (0) | 2022.04.10 |
우리나라 대인신뢰도 (0) | 2022.04.10 |
우리나라 부패인식지수 / 공정성인식 / 준법의식 / 기관신뢰도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