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의
대인신뢰도는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인구의 비율임.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약간 믿을 수 있다’ 또는 ‘매우 믿을 수 있다’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로 산출됨.
2. 추이

3. 해설
대인신뢰도는 자신과 친밀한 사람들이 아닌 일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로 측정한다. 제한된 소수의 사람들만 신뢰하고 다른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으면 사회적 유대와 결속의 범위가 좁아질 뿐 아니라 서로 불신하는 집단들끼리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잘 모르는 사람들도 신뢰할 수 있을 때 사회적 자본이 증대하며 사회적 유대 또한 돈독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사람들에 대한 신뢰 정도를 보여주는 대인신뢰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다. 만 19~69세인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한 대인신뢰도는 2013년 72.2%에서 2020년 50.3%로 떨어졌다. 성별로는 대인신뢰의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지만, 연령 별로는 40대 이상의 대인신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지역별로 보면 농어촌 지역의 대인신뢰도가 62.8%로 도시지역 (48.1%)에 비해 월등히 높다.

* 본 저작물은 ‘국가지표체계’에서 ‘2021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 1유형으로 개방한 ‘2021국가발전지표(작성자: 통계청)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가종합지표체계, index.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이동가능성인식 / 여성관리자공무원비율 / 소수자포용성 (0) | 2022.04.10 |
---|---|
사회적 고립도 (0) | 2022.04.10 |
우리나라 부패인식지수 / 공정성인식 / 준법의식 / 기관신뢰도 (0) | 2022.04.08 |
우리나라 역대 선거투표율은? (0) | 2022.04.08 |
범죄 재범률 / 3년 이내 재복역률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