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합계출산율 2

[유용한 정보] 한국 합계출산율

1. 정의 현재의 출산수준이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15세에 해당하는 한 여자가 가임기간이 끝나는 49세까지 출산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임. 연령집단별(5세 간격) 출산율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함. 2. 추이 3. 해설 합계출산율은 인구의 연령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출산력 지표로 연령구조가 상이한 국가나 집단 간의 출산수준 비교에 널리 사용된다. 합계출산율은 모아비, 일반출산율, 재생산율 등과 같은 출산력 지표에 비해 그 의미 파악과 해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여 1983년에는 대체수준(2.10) 아래인 2.06으로 떨어졌다. 2000년대 들어 저출산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합계출산율은 2000년 1.48, 2010년 1.23, 20..

유용한정보 2022.03.17

[유용한 정보] 우리나라 인구성장률

1. 정의 인구성장률은 사회나 국가를 비교할 때는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연평균 인구성장률을 보편적으로 사용함. 연 평균 인구성장률 = ln(Pt ÷ P0) ÷ t × 100. 여기서 P0는 해당 기간 시작시점의 인구, Pt는 해당 기간 종료시점의 인구, t는 해당 기간 연수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기초로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인구변동 요인을 반영하여 매년 7월 1일 현재로 조성법을 이용한 추계인구로 산출함. 2. 추이 3. 해설 인구성장률은 인구변화의 대표적인 지표로 총인구와 함께 국가의 장·단기 발전계획 수립이나 각종 경제 및 사회 정책 수립에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인구성장률은 출생과 사망의 격차에 의한 자연 증가와 인구이동에 의한 사회적 증가를 반영한..

유용한정보 2022.03.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