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청소년 통계] 21년 청소년 학교생활 만족도 / 사교육 현황 / 학습시간 등과 관련한 통계

나도부자다 2021. 6. 3. 12:3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나도부자다'입니다. 오늘도 청소년통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소년은 과연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학습시간이나 사교육 시간은 어느 정도 될까요? 여성가족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학교생활 만족도

2020년 초·중·고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 비율은 83.0%로 3년 전보다 5.3%p 감소했으며, ‘20년 초·중·고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17년 대비 5.3%p 감소하였습니다.
* 학교생활 만족도 추이: (‘14) 85.9% → (’17) 88.3% → (‘20) 83.0%
「우리학교는 공부하기에 좋은 분위기다」에 긍정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85.2%, 중·고등학생 78.3%로 초등학생이 6.9%p 높았고, 연령별로는 초등학생(9~12세)이 중고등학생(13~18세) 보다 학교생활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학업중단율
2019년 초등학생 0.7%, 중학생 0.8%, 고등학생 1.7%가 학업을 중단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19년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중단율은 1.0%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습니다. 학교급별 학업중단율은 초등학생 0.7%, 중학생 0.8%, 고등학생 1.7%로 고등학생의 학업중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학업중단율은 ’16년 이후 증가하였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업 중단율은 ’18년 대비 각각 0.1%p 상승하였습니다.

3. 기대하는 교육수준 및 이유
2020년 학생의 89%는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기를 원하며, 주된 이유는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했습니다.
’20년 초·중·고등학생이 기대하는 교육 수준은 전반적으로 2년 전보다 낮아졌습니다. 초·중·고등학생의 89%는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기를 원하며, 이는 2년전보다 2.7%p 감소한 수치입니다.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의 56.2%는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2년 전보다 2.2%p 증가한 수치였습니다.

4. 학습시간
2020년 정규 수업시간을 제외한 학습시간은 초(4~6)·중·고등학생 10명 중 4명(36.6%)은 하루 평균 3시간 이상 학습하고 있습니다. ’20년 초중고 학생은 평일 학교 정규 수업시간을 제외하고 하루에 2∼3시간 공부하는 비율이 23.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2시간(20.4%), 1시간 미만(19.1%), 3∼4시간(17.3%) 순서였습니다. 초(4~6)·중학생은 2~3시간, 고등학생은 1시간 미만 학습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4시간 이상 학습하는 학생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많았습니다.

5. 사교육
2020년 초·중·고등학생의 66.5%가 사교육에 참여하고, 주당 평균 5.3시간을 사교육에 할애하고 있습니다.
’20년 초·중·고등학생 사교육 참여율은 66.5%이고, 전년 대비 7.8%p 감소하였으나, 학교급별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생 69.2%, 중학생 66.7%, 고등학생 60.7%입니다. 주당 평균 사교육 시간은 전년 대비 1.2시간 감소한 5.3시간으로 학교급
별로는 초등학생 4.6시간, 중학생 6시간, 고등학생 5.9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과목별 사교육 참여율은 일반교과 52.6%, 예체능·취미·교양 32.1%로 전년대비 4.1%p, 11.9%p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6. 학습동기
2020년 중·고등학생의 학습 동기는 미래의 나를 위해 필요해서(79.6%)가 가장 높았습니다. ‘20년 중․고등학생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 미래의 나를 위해 필요해서가 79.6%로 가장 높고, 못하면 부끄러워서(31.0%), 재미있어서(20.8%), 하지
않으면 혼나거나 벌을 받아서(15.9%) 순이었습니다. 미래의 나를 위해 필요해서 학습하는 경우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7. 진학률 및 취업률
2020년 고등학교 졸업생 72.5%은 대학교에 진학하였고, ’20년 고등학교 졸업생 10명 중 7명(72.5%)은 대학교에 진학하였으며, 대학 진학률은 ’17년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여자(76.1%)가 남자(69.3%)보다 대학 진학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20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률을 직업계고와 비직업계고로 분류 하였으며, 직업계고 졸업 후 취업률은 50.7%, 비직업계고 졸업 후 취업률은 7.5입니다. ’19년 대학교 졸업 후 취업률은 전년 대비 0.6%p 감소한 67.1%로 나타났습니다.
전문대학(70.9%)이 일반대학(63.3%)보다 대학교 졸업 후 취업률이 높았습니다.

이상으로 통계를 알아봤는데요. 청소년들이 공부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엄청난 시간을 사교육을 위해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용으로 산출은 안해봤지만 엄청난 금액이 사교육을 받기위해 쓰여지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학생으로서 공부를 해야함이 맞지만 그래도 스트레스 없는 환경에서 하고 싶은 공부를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삶을 살아가는데 더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